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울산대학교, ‘지산학일체형 대학’으로 글로컬대학 만들기

by 임팩트팩터 2024. 5. 28.
반응형

울산대학교가 '지산학일체형 대학'의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글로컬대학으로서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이는 단순히 지역사회와 대학이 협력하는 차원을 넘어, 지역 산업과 학문, 그리고 교육이 하나로 통합되는 혁신적인 모델을 지향합니다. 이 글에서는 울산대학교의 글로컬대학 선정의 의미, 비전과 목표, 그리고 주요 추진 과제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가 지역사회에 미칠 기여와 기대효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울산대학교 전경

 

글로컬대학 선정의 의미

울산대학교는 교육부가 비수도권 대학 중심으로 진행하는 2023년 글로컬대학 사업에서 최종 선정되었습니다. 이는 울산대가 지역사회와 긴밀하게 협력하며, 지역 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의 발전을 이끌어갈 수 있는 역량을 인정받았음을 의미합니다. 

비전과 목표

울산대학교는 '울산 산업 대전환을 견인하는 지산학일체형 대학'을 비전으로, 인재와 산업 혁신을 선도하는 도시형 오픈 캠퍼스를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학사구조의 개편, 산학협력 강화, 국제화 전략 등 다양한 방면에서 혁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요 과제

  1. 개방혁신형 융합대학: 모집단위 광역화·무(無)학과 제도 운영, 자유전공 융합대학(아산아너스칼리지) 신설 등을 통해 학생들은 전공의 경계 없이 자유롭게 자신의 학습 경로 설계
  2. 능동형 정원조정, 내외부 장벽 제거 : 가변정원제 시행, 산업맞춤 교육과정, 학생의 전공선택권 강화, 현장중심 교육 확대, 지역대학 간 공유형 협력 교육
  3. 미래 신산업 대학원 신설 : UNIST와 공동 학위과정 운영, WSU(Work & Study in Ulsan) 운영
  4. 혁신적 교원인사 제도 : JA교원 인사제도, 산업체 교원 파견제도, 대학 간 교원 교류 확대
  5. 시ㆍ공간 초월형 캠퍼스 : 시·공간 초월형 캠퍼스‘UbiCam’ 운영, UIM(UbiCam Integrated Management) 센터 운영
  6. 국제화 및 멀티캠퍼스 운영: 외국 대학과의 교류를 확대하고, 울산 지역 내에 멀티캠퍼스를 설치하여 국제적 인재 양성 
  7. 지역사회와의 협력 강화: '울림(Ulim)'과 같은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사회와 대학이 협력하여 의료, R&D, 교육 분야 혁신 추진

지역사회 기여 및 기대효과

울산대학교의 글로컬대학 사업은 지역 산업의 발전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특히, 지역 산업에 필요한 맞춤형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울산의 산업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호 협력하는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지역 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입니다.

울산대학교의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한 대학의 혁신을 넘어, 대한민국 대학교육의 미래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합니다. 울산대학교가 글로컬대학으로서 걸어갈 새로운 길이 우리 사회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기대가 큽니다. 

반응형